中文成語呆若木雞韓文翻譯 成語呆若木雞(태약목계) 讀音:( 중국 발음-dāi ruò mù jī :다이 루어 무지)
解 釋 :呆得像木頭雞一樣。形容因恐懼或驚異而發(fā)愣的樣子。
出 處: 莊周《莊子·達生》:“雞雖有鳴者,已無變矣,望之似木雞矣;
其德全矣,異雞無敢應者,反走矣。
【原文】 紀渻子為王養(yǎng)斗雞。十日而問:“雞已乎?”曰:“未也,方虛驕而恃氣。
기성자가 왕을 위해 싸움닭을 길렀다(기성자는 싸움닭 기르는 분야에 일하는 벼슬아치다)
10일후 (왕이) 묻기를 닭 잘되가나(싸움 닭 어찌 되었느냐)?
대답하길 아직입니다. 교만하고 자신감 넘치는 기운을 표출합니다(이하 생략)
十日又問, 曰:“未也,猶應向影。”
"十日又問,曰:“未也,猶疾視而盛氣。
”十日又問,曰:“幾矣。雞雖有鳴者,已無變矣,望之,似木雞矣,其德全矣
,異雞無敢應者,反走矣。”
紀渻[〔渻〕音shěng。]子為王〔王〕指齊王。養(yǎng)斗雞。
十日而問:“雞已乎?” [〔雞已乎〕 意思是斗雞養(yǎng)好了嗎?]
曰:“未也,方虛驕而恃氣。”[〔虛而恃氣〕虛浮驕傲,
而且自恃意氣。,“驕”。]
十日又問,曰:“未也,猶應向影 。”[〔猶應向影〕還是聽到聲音或者見到影
像就有所 反應,意思是心還是為外物所牽制。向,通“響”。]
十日又問,曰:“未也,猶疾視而盛氣。”十日又問,曰:“幾矣。雞雖有鳴者,
已無變矣,望之似木雞矣,其德[〔德〕德性,可以理解為作為斗雞的基本素
質。]全矣,異雞[〔異雞〕別的雞。]無敢應者,反走矣。”
紀渻子為周宣王馴養(yǎng)斗雞。過了十天周宣王問:“雞馴好了嗎?
”紀渻子回答說:“不行,
正虛浮驕矜自恃意氣哩。
”十天后周宣王又問,回答說:“不行,還是聽見響聲就叫,
看見影子就跳。
”十天后周宣王又問,回答說:“還是那么顧看迅疾,意氣強盛。”
又過了十天周宣王問,回答說:“差不多了。別的雞即使打鳴,
它已不會有什么變化, 看上去像木雞一樣,它的德行真可說是完備了,
別的雞沒有敢于應戰(zhàn)的,掉頭就逃跑了。”
有一位紀先生替齊王養(yǎng)雞,這些雞不是普通的老母雞,
而是要訓練好去參加比賽的斗 雞。
기성자는 주선왕의 싸움닭 길들이는 벼슬아치다
(닭을 길들이기 시작한지)열흘이 지나자 주선왕이 물었다.
닭 길들이는건 잘되가지?하자
기성자가 대답해 올리길 "아직입니다. 자신감으로 교만과
긍지로 들떠있습니다" 하였다.
10일 후에 주선왕이 또 묻는다. 잘되가나?
대답해 올리길 "아직 소리를 들으면 바로 짓고 그림자를 봐도
바로 뛰 다닙니다 "하였다.
10일 후에 주선왕이 또 묻는다. 대답해 올리길 "아직도 저렇게
날쌔게 돌아보고 의기가 왕성합니다"하였다.
또 10일이 지나자 주선왕이 물으니 보고하길
"제대로 되었습니다. 닭이 우는것 외에는
이놈은 어떤 변화도 없습니다. 마치 나무로 깎아만
든 닭을 보는거와 같습니다. 이놈의 싸움닭 소질은 참으로 완벽
하다 할 수있습니다. 다른 닭들이 감이 싸울 엄두를 내지못
하고 도망칩니다"하였다. |